프레임워크/Spring boot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14. 빈의 범위를 정해주자! 빈 스코프 (Bean Scope)

안녕하세요! 스프링 빈을 만들고 모든 빈이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았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아야 유용할 때도 오겠죠? 그럴 땐 Scope라는 기능을 이용해 봅시다! 이전 글 보러 가기!! -> [Spring Boot] 13. 빈의 일대기! 생명 주기 콜백 [Spring Boot] 13. 빈의 일대기! 생명 주기 콜백 안녕하세요! 여러분.. 스프링 빈이 언제 죽는다고 생각하십니까? 심장 깊숙이 총알이 박혔을 때? 불치의 병에 걸렸을 때? 독버섯으로 만든 스프를 마셨을 때? 바로... 지금 알아보러 갑시다! 이전 hel-p.tistory.com 스코프(Scope) 알아보기 스코프는 번역하면 범위라고 합니다. 그래서 말 그대로 스프링 빈이 살아서 내 코드에 영향을 줄 범위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혹시 이전..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13. 빈의 일대기! 생명 주기 콜백

안녕하세요! 여러분.. 스프링 빈이 언제 죽는다고 생각하십니까? 심장 깊숙이 총알이 박혔을 때? 불치의 병에 걸렸을 때? 독버섯으로 만든 스프를 마셨을 때? 바로... 지금 알아보러 갑시다! 이전 글 보러 가기!! -> [Spring Boot] 12. 필드 주입을 더 편하게! 롬복(Lombok) [Spring Boot] 12. 필드 주입을 더 편하게! 롬복(Lombok)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Autowired라는 어노테이션을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해 봤는데요! 하다 보면서 드는 생각은 어차피 의존관계 주입할 필드는 다 final을 쓸 거고, 다 생성자 만들어서 @Autowired hel-p.tistory.com 상황 가정 우선 저희의 shopping 프로젝트에서보단 따로 상황을 가정해서 만들어봅시다...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12. 필드 주입을 더 더 편하게! 롬복(Lombok)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 @Autowired라는 어노테이션을 통해 의존관계를 주입해 봤는데요! 하다 보면서 드는 생각은 어차피 의존관계 주입할 필드는 다 final을 쓸 거고, 다 생성자 만들어서 @Autowired 해줄 건데 엄청 반복적이면서 코드 길이만 늘리는 작업인 것 같아요. 저만 이런 생각을 한 것은 아닌가 봐요! 다른 엄청 똑똑한 개발자들이 이를 더욱더 간단하게 만들어줄 엄청난 기능을 만들어냈는데요. 바로 롬복이라는 것입니다! 롬복을 사용하면서 어떻게 더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지 알아봅시다! 이전 글 보러 가기!! -> [Spring Boot] 11. 의존관계도 알아서 해줘! Autowired [Spring Boot] 11. 의존관계도 알아서 해줘! Autowired 안녕하세요! 이..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11. 의존관계도 알아서 해줘! Autowired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서부터 저희는 Configuration 클래스가 자동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Component Scan을 통해서도 우선 어느 정도 구성이 되었지만 추가적으로 의존관계에 대해선 적용한 것이 없기 때문에 요건 Autowired라는 기능을 써서 자동으로 구성되게 만들어볼까 합니다. 그럼 한번 같이 추가하러 가볼까요? 이전 글 보러 가기!! -> [프레임워크/Spring boot] - [Spring Boot] 10. 알아서 해줘! Component Scan [Spring Boot] 10. 알아서 해줘! Component Scan 안녕하세요! 열심히 스프링 Bean들의 설정을 구성하느라 고생 많으셨죠? 오늘은 조금 더 간편한 방법을 배워보려 합니다. 만약에 프로젝트가 마구 커져서 Be..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10. 알아서 해줘! Component Scan

안녕하세요! 열심히 스프링 Bean들의 설정을 구성하느라 고생 많으셨죠? 오늘은 조금 더 간편한 방법을 배워보려 합니다. 만약에 프로젝트가 마구 커져서 Bean이 엄청나게 많아지게 되면 AppConfig를 작성하기가 너무 막막하겠죠? 이를 위해서 자동으로 Bean들을 찾아서 구성해 주는 기능인 Component Scan을 한번 사용해 봅시다! 이전 글 보러 가기!! -> [프레임워크/Spring boot] - [Spring Boot] 9. 스프링과 함께 싱글톤 패턴 정복하기 [Spring Boot] 9. 스프링과 함께 싱글톤 패턴 정복하기 안녕하세요! 너무 오랜만에 돌아왔죠? SW마에스트로를 지원하면서 코딩테스트 공부를 처음 시작해 보느라 블로그 쓸 시간이 부족했네요ㅠ 이 얘기는 나중에 따로 적기로 하고..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9. 스프링과 함께 싱글톤 패턴 정복하기

안녕하세요! 너무 오랜만에 돌아왔죠? SW마에스트로를 지원하면서 코딩테스트 공부를 처음 시작해 보느라 블로그 쓸 시간이 부족했네요ㅠ 이 얘기는 나중에 따로 적기로 하고 저희는 오늘 싱글톤 패턴에 대해 알아보고 적용할 거예요. 싱글인 것도 서러운데 싱글톤 패턴은 뭘까요ㅠㅠ 싱글톤 패턴이라는 말이 생소한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그럼 제일 먼저 싱글톤 패턴이 무엇인지와 우리 프로젝트에 왜 필요한지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이전 글 보러 가기!! -> [프레임워크/Spring boot] - [Spring Boot] 8. 봄이 왔으니 콩을 심어보자 - @Configuration로 생성하는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Spring Boot] 8. 봄이 왔으니 콩을 심어보자 - @Configuration로 생성하는 ..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8. 봄이 왔으니 콩을 심어보자 - @Configuration로 생성하는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여러분 봄이 왔습니다!! 하핫.. 사실은 글을 쓰는 현재는 12월 몹시 추운 날입니다. 롱패딩까지 입고있다구요... 하지만! 저희의 프로젝트에는 봄이 왔습니다! 드디어 Spring의 기능을 써볼 예정인데요. 바로 제목에 나와있는 @Configuration입니다. 저희는 이전글에서 눈빠지게 설정파일을 만들었는데 무슨 또 설정을 하라는거냐!!! 하시겠죠? 하지만 우리가 만든 AppConfig라는 세팅파일을 Spring이 관리해줄 수 있도록 설정해주는 과정을 배우는것이라 우리는 우리 프로젝트를 관리해야하는 짐을 스프링에게 좀 덜어낼 수 있을겁니다. 직접 한번 해보러 가봅시다!! 이전 글 보러가기!! -> [프레임워크/Spring boot] - [Spring Boot] 7. 객체지향 적용을 시작해보자! - 새 ..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7. 객체지향 적용을 시작해보자! - 새 할인정책으로 변경

우려했던 일이 벌어졌습니다... 할인정책을 바꾸라고 하시네요?! 기어코 다 만들어버리니까 바꾸라는 사장님. 하지만! 저희는 여기서 사직서 대신 키보드와 마우스를 들고 객체지향을 통해 간단하게 수정을 진행해 볼까 합니다. 가보죠! 이전 글 보러가기!! -> [프레임워크/Spring boot] - [Spring Boot] 6. 의심에서 확신으로! JUnit 테스트 진행해보기 [Spring Boot] 6. 의심에서 확신으로! JUnit 테스트 진행해보기 안녕하세요! 이전글에서 코드만 많고 지루한 내용을 많이 해서 이번 글은 조금 가볍게 볼만한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백엔드를 통해 기능을 개발하다보면 이게 정말 내가 원하는대로 작동이 잘 hel-p.tistory.com 새 할인정책 만들기 바뀐 할인정책에 대해 들..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6. 의심에서 확신으로! JUnit 테스트 진행해보기

안녕하세요! 이전글에서 코드만 많고 지루한 내용을 많이 해서 이번 글은 조금 가볍게 볼만한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백엔드를 통해 기능을 개발하다보면 이게 정말 내가 원하는대로 작동이 잘 될까? 하는 의심이 생길때가 자주 있죠. 그렇다고 이걸 잘 되길 기도하면서 적용이 될때동안 기다릴 수는 없는 노릇이고, 그리고 이전글처럼 따로 main함수를 만들어 돌려보고 하기도 복잡하고 지저분해지기만 합니다. JUnit은 이런 의심들을 확신으로 바꿔주기 위해 생겨났습니다. 바로 내가 만든 기능들을 테스트하게 해주는 녀석입니다! 그렇다고 뭘 깔아야하나 한다면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만든 프로젝트에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어디에서?? 바로 관찰력 좋으신분이라면 봐보셨을수도 있었던 test라는 곳에서 할 수 있습니다. 그..

프레임워크/Spring boot

[Spring Boot] 5. 기능 구현 시작 - 할인정책과 주문

안녕하세요! 진짜 오랜만에 다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미처 못 구현한 주문 그리고 할인해주는 기능을 개발해보도록 합시다! 이전 글 보러가기!! -> [프레임워크/Spring boot] - [Spring Boot] 4. 기능 구현 시작 - 회원 (스프링의 계층 구조 알아보기) [Spring Boot] 4. 기능 구현 시작 - 회원 (스프링의 계층 구조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부턴 제대로 기능을 구현해보려고 합니다. 와아아아아아!!!!!!!!!! 갑자기 네이버의 대표님이 나에게 딱 와서 종이 하나만 딱 던져주고 갔다고 가정해볼게요. 거기엔 우리가 이제 hel-p.tistory.com 할인 정책 개발 먼저 기억나실지 모르겠지만 저희는 등급제를 운영하여 VIP등급이면 1,000원을 고정..

치찌개김
'프레임워크/Spring boot' 카테고리의 글 목록